본문 바로가기

 

문화리뷰

일드 노다메 칸타빌레를 한국 드라마로 리메이크 한다는 기사를 읽고

일드 노다메 칸타빌레를 한국 드라마로 리메이크 한다는 기사를 읽고




명작 일드 노다메 칸타빌레를 한국 드라마로 리메이크 한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고 출연배우들을 섭외하는 중이라고 한다.


노다메 칸타빌레가 일본에서 방영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국내에서도 노다메 열풍이 불 정도로 화제였던 드라마여서 국내에서 리메이크한다는 소식에 많은 팬들이 관심을 갖고 기다리고 있다. 과연 노다메를 연기할 배우는 누가 될지, 노다메를 제대로 표현해낼 수 있을지, 원작의 분위기를 살리면서 다른 맛을 낼 수 있을지 등등 기대를 갖고 기다리는 팬들도 있고 국내에서 소재를 발굴하지 않고 성공한 일드를 쉽게 수입하는 일에 대해 비판하는 시선도 있다.


노다메 칸타빌레의 팬으로서 기대와 불안이 동시에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일드 노다메 칸타빌레가 급하게 마무리 되면서 원작만화의 후반부는 제대로 살리지 못했고, 치아키가 일본에서 오페라를 연출하는 번외편 이야기도 빠져있으니 전부 다 넣어서 20회 정도로 편성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든다.


노다메 칸타빌레는 만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영화 등으로 만들어져 만화가 원작인 드라마 중에서 가장 성공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만화, 애니, 드라마로 이어진 다른 작품들보다 노다메 칸타빌레는 원작의 느낌을 전혀 잃지 않았을 뿐더러 만화와 애니, 드라마로 보고 또 봐도 다른 맛이 느껴지게 만들어졌다. 노다메 칸타빌레가 종료된 지 몇 년이 지났지만 지금 다시 꺼내봐도 만화면 만화, 애니면 애니, 드라마면 드라마 모두 성공한 케이스이다.


노다메 칸타빌레가 성공하는 것을 보면서 부러운 마음이 들면서 국내에서도 이런 시스템이 있으면 좋을텐데 하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도 드라마로 만들어지면 성공할 수 있을만한 만화도 많이 있고 또 실제로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애니메이션이란 부분이 빠져있는 점이 아쉽다. 


일본의 경우를 보면 인기 있는 만화는 애니와 게임으로 만들어지고 대단히 성공한 경우 드라마로 연결되기도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만화의 양과 수준은 일본에 비해 떨어지지 않지만 국내 애니메이션 부분은 일단 규모에서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작다. 국내 애니메이션 시장에서는 투자금을 뽑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한류열풍 속에서 국산 애니메이션도 세계시장을 보고 활성화되었으면 좋겠다.


국내에는 일본과 비교할 수 없을만한 강점이 있는데 무궁무진한 컨텐츠 공급원이 있다는 사실이다. 인터넷 소설이 활성화되면서 발달한 장르소설인데 이 장르소설이야말로 전 세계에 뒤지지 않는 한국만의 문화콘텐츠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무협소설, 판타지소설, 게임소설, 대체역사소설, 연애소설 등으로 세분화된 장르 속에서 수 많은 작품이 탄생했고 읽혀지고 있다.  


이 장르소설 중에서 만화로 만들어져서 소설이 그림으로 구체화되는 걸 보고 싶은 작품이 한 둘이 아니고, 현재 만화로 나와있는 작품 중에서도 애니메이션이나 영화로 만들어져서 캐릭터가 살아 움직이는 걸 봤으면 하는 작품들도 많다. 대표적인 게임소설인 달빛조각사는 모르면 간첩일 정도로 유명하고 아마 국내의 다른 어떤 소설도 그 인기에 있어 달빛조각사를 따라가기는 힘들 것이다. 달빛조각사가 만화로 만들어진다면 그 인기는 어마어마할 것이고 애니로 만들 수 있을만한 동력을 확보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또 한 가지 우리나라의 장르소설이 갖고 있는 장점은 현실성에 있다. 일본이나 미국의 만화에는 비현실적인 공상이야기가 많은데 우리나라 장르소설은 어떤 장르를 봐도 묘하게 현실적인다. 무협소설에서는 다양한 인간군상과 권력게임을 보여주며, 대체역사소설에는 가정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가 역사상 중요한 순간에 이런 선택을 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과 미래에 대한 희망이 있고, 게임소설에서는 인간의 노력과 성공을 수치화해서 현실세계에서도 이렇게 하면 성공할 것 같은 판단기준을 제공해 준다. 


네티즌의 호응을 받은 장르소설이 만화, 애니로 만들어진다는 것은 컨텐츠 산업의 구조뿐 아니라 내용적인 면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작가들이 만들어낸 컨텐츠를 일방적으로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과 호흡을 같이 한 작품속의 캐릭터나 줄거리들이 한 단계씩 생명력을 갖게 되는 것을 보면서 함께 키워가는 느낌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작가들의 제한된 머리속에서 꾸며낸 비현실적인 이야기들로 만들어진 드라마를 감상하기만 하는데서 벗어나 제작진과 독자 혹은 시청자가 밀접하게 교류하는 새로운 방식의 컨텐츠 제작방식이 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성공한 인터넷 장르소설들은 기본적으로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흥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판단의 기초가 될 수도 있다.


일본을 보면 만화, 게임, 애니메이션, 캐릭터 산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만화가 성공하면, 애니와 게임, 캐릭터로 단계적으로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런 시스템이 구축되면 예측가능하고 현실적인 투자를 할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는 여기에 한 단계 더해 장르소설, 만화, 게임, 애니, 캐릭터산업, 드라마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면 국내 드라마의 소재부족이라는 고질적인 문제도 해결하고 세계에 수출할 수 있는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를 확보하게 될 수 있으니 투자자들이 여기에 관심을 두면 좋겠다. 애니메이션 분야가 활성화된다면 수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거창하게 이것저것 들먹였지만 좋아하는 인터넷 소설이 만화의 캐릭터로 구체화되고, 또 애니메이션으로 살아 움직이고, 드라마로 현실에 등장했으면 하는 소박한 개인의 소망일 뿐이다. 그렇지만 이런 소망을 가진 이가 혼자만은 아닐 거라는 확신이 있다. 



일드 노다메 칸타빌레를 한국 드라마로 리메이크 한다는 기사를 읽고